로마제국 최고신들께 바친 신전인 판테온(Pantheon)을 건립한 황제이며 로마제국 최전성기를 발현한 5현제 중 한 황제이다. 팽창 일로에 있던 로마제국을 더 이상 팽창하지 않도록 하는 후세에 엄청난 영향을 미친 정책을 펼쳤다. 그가 황제가 아니었다면 로마제국은 끝없이 팽창하였을 것이다. 영토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국 변방에 장성(wall)을 구축하였다.
---------------------------------------------------
하드리아누스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하드리아누스 | |
---|---|
로마 제국 14대 황제 | |
재위 기간 | 117년 8월 7일 - 138년 7월 10일 |
타고난 이름 | 푸블리우스 아일리우스 하드리아누스 |
황제 이름 |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트라야누스 하드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
전임 황제 | 트라야누스 |
후임 황제 | 안토니누스 피우스 |
로마 황제 연대표 |
하드리아누스(라틴어: Hadrianus)는 로마 제국의 제14대 황제(76년 1월 24일~138년 7월 10일)이다.
생애
푸블리우스 아일리우스와 도미티아 파울리나 사이에서 76년 로마 제국의 식민지인 히스파니아(현재의 에스파냐)의 이탈리카라는 도시에서 태어났다.
85년 먼 친척인 트라야누스 황제가 후견인이 됨으로써 로마로 거주지를 옮긴다. 이미 18살에 로마 제국 제2군단의 부관에 임명되면서 지휘관의 발판을 놓게 되었다. 96년에 제5마케도니아 군단의 지휘관, 97년 제12프리미게니아 군단의 지휘관으로 임명되어 공적을 세운다. 101년에 트라야누스 황제의 측근으로 발탁되어 개인 재무관을 역임한 후, 105년 법무관으로 선출됨과 동시에 제1미네르바 군단의 사절로 활약하였다. 108년 명목상 황제 다음 가는 로마 제국의 관직인 제 2 집정관(Sufflectus)에 선출되었다.
그가 황제로 취임할 때, 선제 트라야누스의 적극적인 정책에 의해 제국의 판도는 최대에 이르렀다. 이 때문에, 하드리아누스는 20년간 3차례에 걸친 제국 전역을 시찰하여 제국 영토의 방위나 각지에서 일어나는 반란에 대한 대처, 통치 기구 정비 등 제국 내부를 튼실하게 만드는 데 충실하게 노력하여 제국을 재구축한 황제로 불린다. 특히 통치 기구 정비가 매우 철저하여 그가 구축한 관료 기구는 후세의 모범이 되었다. 이로 인해 트리아이누스로 인해 사상 최대 크기로 넓어진 제국의 영토는 하드리아누스에 의해 단단히 굳히게 된다. 구체적 업적으로는 하드리아누스 방벽과 게르마니아 방벽 등의 구축이 있다.
하드리아누스는 정치적으로도 뛰어난 업적을 이룩했지만, 군사면에서도 우수하였다. 군대의 규율 개정에 의한 군 내부를 개혁시켰으며, 용병술에 뛰어난 하드리아누스 덕분에 로마군은 연전 연승이었다. 또 전투 상황일 때는 앞장서서 지휘를 하였기 때문에, 군대의 사기를 크게 높였다.
135년 바르 코크바의 반란을 진압하여, 제1차 유대-로마 전쟁 때에 파괴되어 방치되어 있던 예루살렘을 자신의 씨족명 아일리우스와 연관된 식민도시 아일리나 카피트리나로서 재건하였다. 그러나 유대인들은 그곳에서의 야훼 숭배가 금지되었다.
말년에 그는 병상에 누워서 안토니누스를 양아들로 삼아 자신의 후계자로 결정했다.
연도 |
황제 |
박해의 유형 및 범위 |
대표적인 순교자 |
64 |
|
|
|
90년경 |
|
|
|
98-117 |
|
|
|
117-138 |
|
|
|
161-180 |
|
|
|
202-211 |
|
|
|
235-236 |
|
|
|
249-251 |
|
|
|
257-260 |
|
|
|
303-311 |
|
|
|
로마신들에 대한 신앙심이 높았던 것으로 유명한 하드리아누스 황제가 세운 만신전(萬神殿) 판테온
판테온(그리스어: Πάνθειον)은 그리스어의 "모든 신들"이라는 말에서 유래한 말로, 한국어로는 범신전(汎神殿), 만신전(萬神殿)으로도 번역되며, 모든 신들들을 모시는 신전을 의미한다. 이런 의미에서의 판테온은 주로 고대 그리스, 고대 로마에서 등장했다. 그러나 유일신을 믿는 기독교가 등장하면서 판테온은 본연의 역할을 잃어버려 중시시대부터 기독교 교회로 쓰이고 있다.
원형 본당(本堂)의 안지름과 천장의 높이 43.2m, 벽의 두께 6.2m. 북측 입구에 코린트식 8주 전주식(前柱式)의 돌출랑(突出廊)이 있으며, 기둥 높이는 12.5m이다. 당 내부에는 7개의 벽감(壁龕:神像을 안치한 작은 방)이 설치되어, 제우스·아폴론·아르테미스·헤르메스(메르쿠리우스) 등 다신교였던 로마에서 중요 신들이 모셔졌다. 돔의 내측은 원개 천창(天窓) 부분을 제외하고는 28열의 방사상 격간(格間)으로 덮여 있고, 각각의 격간은 5단으로 되어 있다. 채광은 돔 정상에 설치된 지름 9m의 천창뿐이며, 벽면에는 창문이 없고, 거대한 본당의 외형에는 전혀 장식이 없다. 그 수적 비례의 미와 강대한 내부 공감의 창조라는 당시의 경이적인 토목기술로서 서양건축사상 불후의 명작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고대 그리스의 수학과 로마의 공학이 합쳐진 최고의 건축물.
15층 높이에 벽의 두께만 해도 6.2m나 됩니다.
건물 내부에는 기둥은 하나도 사용하지 않았고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가벼워지는 부재가 건물을 지탱할 수 있게 했답니다.
천장에 뚫린 구멍을 로마인들은 ' 눈 '이라고 불렀답니다.
또한 한쪽 끝 벽면에서 속삭이면 반대편 끝에서 그 말이 크게 들린다는 로마의 놀라운 건축술을 보여주는 건축물
구조
'100 ~ 200'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우렐리아누스(로마 황제) [Aurelianus, Lucius Domitius, 270~275 재위] (0) | 2009.04.24 |
---|---|
서기 200년경 세계지도 (0) | 2009.04.22 |
서기 100년경 세계지도 (0) | 2009.04.22 |
유태인 디아스포라(대이주,유랑, 서기 136년) (0) | 2009.04.20 |
포르피리오스 [Porphyrios, 232?~305?] (0) | 2009.04.13 |
조로아스터교 (0) | 2009.04.13 |
아르다시르 1세 (페르시아 황제) [?~241] (0) | 2009.04.10 |
바알베크 [Baalbek] (0) | 2009.04.09 |
트라야누스 (로마 황제) [Marcus Ulpius Trajanus, 53.9.18~117.8.8] (0) | 2009.04.06 |
디오클레티아누스 (로마 황제) [Gaius Aurelius Valerius Diocletianus, 245~316] (0) | 2009.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