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피리오스 [Porphyrios, 232?~305?]        100 ~ 200  2009. 4. 13. 13:39

반응형
신플라톤주의의 대가. 그가 쓴反 기독교도》라는 책은 매우 극찬을 받았다. 매우 논리적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서기 5세기 기독교화된 로마인 서로마의 광신적이며 독실한 발렌티니아누스 3세왕이 그 책을 모두 불태우라고 명령했기 때문에 남아 있는 부분은 거의 없다.
----------------------------

포르피리오스 [Porphyrios, 232?~305?]
요약
고대 그리스 철학자, 역사가. 262년 로마에 가 플로티누스에게 신플라톤주의 철학을 배웠다. 고대 그리스 전통 종교를 신학화하는 데 관심이 많아《그리스도교도 반박론》을 썼다.
국적 로마제국 중기
활동분야 고대 그리스 철학
출생지 시리아 티루스
주요저서 피타고라스의 생애 Pythagorou bios》《그리스도교도 반박론》
본문

시리아의 티루스 출생. C.롱기노스에게 문법()과 변론술()을 배우고 262년 플로티노스의 명성()에 끌려 로마로 나가 6년 동안 그로부터 신플라톤파 철학을 배우는 데 몰두하였다. 그는 과로로 건강을 해쳐 시칠리아로 가서 5년간 지낸 후, 다시 로마로 나가 스승인 플로티노스의 지성적인 철학이론을 주석()하는 저술에 전념하였다.

그 밖에 그의 저작은 철학 ·역사 ·종교 ·문학 등 다방면에 걸쳤으나 오늘날 남아 있는 것은 매우 적다. 그는 종교적 관심이 많아 그리스도교에 대항하여 고대 그리스의 전통종교를 옹호, 그것을 신학화()하여 일반대중의 윤리철학으로 삼으려고 애썼다. 그의 《그리스도교도 반박론 Kata Christianōn》은 후대에 기독교 공인후 이교도의 책으로서 불태워졌는데, 그 단편()이 전해진다.

그리고 그의 문헌학적 연구 《Homērika zētēmata》는 호메로스 연구사상 금자탑으로서 《오디세이 Odyssey》에 대한 비유적 해석의 한 전형()이 되었다. 철학적 저작으로서는 《피타고라스의 생애 Pythagorou bios》가 있다.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