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혁명력 (프랑스 대혁명 기간에 쓰인 달력) 1600 ~ 1700 2009. 4. 11. 10:16
반응형
프랑스 혁명 정부에서 1793년 11월 24일 시행하여 1805년 12월 31일까지 사용된 역법. 공화력(共和曆, Republican Calendar)이라고도 한다. 공화제에서 나폴레옹 1세의 제정으로 바뀐지 1년여인 1806년 1월 1일부로 사용이 중지되고 다시 그레고리력으로 환원된다.
공화정을 선언한 1792년 9월 22일을 혁명력 원년 1월 1일로 정하고, 모든 단위를 최대한 10진법에 맞춘다는 프랑스 혁명 정부(또는 계몽사상가)의 이상에 맞추어 시간의 단위를 10진화한 것이 특색이다. 1년은 12개월, 각 월은 30일, 1순일(décade)은 10일로 하며(즉 각 월은 3순일로 구성) 1일은 10시간, 1시간은 100분, 1분은 100초로 정하였다. 이런 것은 피트, 파운드와 같은 재래식 단위 대신 미터법을 제정한 것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년은 365일이므로 30일씩 12개월로 나누면 5일이 남는데, 남는 5일은 축제일, 그리고 4년마다 1번씩 삽입되는 윤일은 혁명 축제일로 정하였다. 이들 5-6일은 12번째 달 뒤에 이어지나 12개월 중 어떤 달에도 속하지 않으며 요일도 매기지 않는다.
프랑스 혁명력에서 달(月)의 이름과 기간은 다음과 같다.
1월 - 방데미에르(Vendémiaire, 포도의 달): 9월 22일 - 10월 22일
2월 - 브뤼메르(Brumaire, 안개의 달): 10월 23일 - 11월 21일
3월 - 프리메르(Frimaire, 서리의 달): 11월 22일 - 12월 21일
4월 - 니보즈(Nivôse, 눈(雪)의 달): 12월 22일 - 1월 20일
5월 - 플루비오즈(Pluviôse, 비의 달): 1월 21일 - 2월 19일
6월 - 방토즈(Ventôse, 바람의 달): 2월 20일 - 3월 21일
7월 - 제르미날(Germinal, 씨앗의 달): 3월 22일 - 4월 20일
8월 - 플로레알(Floréal, 꽃의 달): 4월 21일 - 5월 20일
9월 - 프레리알(Prairial, 목장의 달): 5월 21일 - 6월 19일
10월 - 메시도르(Messidor, 수확의 달): 6월 20일 - 7월 19일
11월 - 테르미도르(Thermidor, 열(熱)의 달): 7월 20일 - 8월 17일
12월 - 프뤽티도르(Fructidor, 열매의 달): 8월 18일 - 9월 16일
(주: 1월은 프랑스어로 '포도 수확'이라는 뜻의 vendanger에서, 4월은 프랑스어로 '눈'이라는 뜻의 neige에서 나왔다.)
1794년 7월 27일 공포정치를 주도하던 로베스피에르, 생 주스트 등이 축출되어 처형된 사건이 테르미도르의 반동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이는 이 사건이 일어난 날이 혁명력 11월, 즉 테르미도르이기 때문이다. 또한 노동 운동을 소재로 한 에밀 졸라의 소설 ≪제르미날≫과, 그를 원작으로 한 동명 영화 제목도 프랑스 혁명력 7월에서 따온 것이다.
1개월을 나누는 보조 단위를 7일 단위의 1주일 대신 10일 단위의 1순일로 바꾸면서 요일도 바뀌었다. 요일의 이름은 제 1요일(Primidi), 제 2요일(Duodi), 제 3요일(Tridi), 제 4요일(Quartidi), 제 5요일(Quintidi), 제 6요일(Sextidi), 제 7요일(Septidi), 제 8요일(Octidi), 제 9요일(Nonidi), 제 10요일(Decadi)이다. 매 순일 제 10요일은 휴일로 정한다.
7일 단위의 1주일을 10일 단위의 1순일로 대체한 것은 앞에서 설명했듯 시간의 단위를 10진화하려는 의도도 있었지만 기독교 문화의 영향을 배제하려는 의도도 포함되었는데, 6일 노동 + 1일 휴무가 9일 노동 + 1일 휴무로 바뀌었기에 많은 시민들에게는 불만도 높았다.
매년 프뤽티도르 뒤에 이어지는, 요일이 없는 축제일 이름은 다음과 같다. 참고로 요일을 매기지 않는 날을 두고 이 날을 휴일로 하자는 발상은 1903년 그레고리력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독일 군인 지하르트가 제창한 세계력(네이버 백과사전 세계력 설명 보기)에 반영된다.
1일: 덕(德)의 축제일(Fete de la vertu)
2일: 수호신의 축제일(Fete du genie)
3일: 근로의 축제일(Fete du travail)
4일: 여론의 축제일(Fete de l'opinion)
5일: 보상의 축제일(Fete des recompenses)
6일: 혁명의 날(Jour de la revolution: 윤년에만 있음)
혁명력 1월 1일을 그레고리력 9월 22일로 정한 것은, 천문학적으로는 추분이 9월 22일 근처라는 것과 관계 있다. 매년 1월 1일을 추분에 맞추려면 어떤 조치가 필요했고, 결국 20년째 되는 해 날짜를 조정해야 했는데 혁명력이 14년밖에 쓰이지 않게 되어 실질적으로는 조치가 필요치 않게 되었다.
윤년은 기본적으로 그레고리력과 같은 방식으로 정한다. 그러나 최초에는 4년, 8년, 12년이 아닌 3년, 7년, 11년이 윤년으로 지정되었다. 이는 혁명력 1년이 1793년 9월부터 시작되었기에, 그레고리력으로 윤년인 1796년이 혁명력 3년에 해당한 것을 감안하였다고 해석된다. 11년 이후에는 15년, 20년, 그 뒤로는 그레고리력과 같이 4배수에 해당하는 해를 윤년으로 지정하려 하였다 한다. 또한 그레고리력과 같은 방식이므로 계속 쓰였다면 혁명력 100년, 200년, 300년은 윤년이 아니었을 것이다.
【참고 자료】
1. http://webexhibits.org/calendars/calendar-french.html (프랑스 혁명력 자료: 영어)
2. http://myhome.hanafos.com/~asakaray/ver/v-ther.htm (김혜린 만화 <테르미도르> 설명)
공화정을 선언한 1792년 9월 22일을 혁명력 원년 1월 1일로 정하고, 모든 단위를 최대한 10진법에 맞춘다는 프랑스 혁명 정부(또는 계몽사상가)의 이상에 맞추어 시간의 단위를 10진화한 것이 특색이다. 1년은 12개월, 각 월은 30일, 1순일(décade)은 10일로 하며(즉 각 월은 3순일로 구성) 1일은 10시간, 1시간은 100분, 1분은 100초로 정하였다. 이런 것은 피트, 파운드와 같은 재래식 단위 대신 미터법을 제정한 것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년은 365일이므로 30일씩 12개월로 나누면 5일이 남는데, 남는 5일은 축제일, 그리고 4년마다 1번씩 삽입되는 윤일은 혁명 축제일로 정하였다. 이들 5-6일은 12번째 달 뒤에 이어지나 12개월 중 어떤 달에도 속하지 않으며 요일도 매기지 않는다.
프랑스 혁명력에서 달(月)의 이름과 기간은 다음과 같다.
1월 - 방데미에르(Vendémiaire, 포도의 달): 9월 22일 - 10월 22일
2월 - 브뤼메르(Brumaire, 안개의 달): 10월 23일 - 11월 21일
3월 - 프리메르(Frimaire, 서리의 달): 11월 22일 - 12월 21일
4월 - 니보즈(Nivôse, 눈(雪)의 달): 12월 22일 - 1월 20일
5월 - 플루비오즈(Pluviôse, 비의 달): 1월 21일 - 2월 19일
6월 - 방토즈(Ventôse, 바람의 달): 2월 20일 - 3월 21일
7월 - 제르미날(Germinal, 씨앗의 달): 3월 22일 - 4월 20일
8월 - 플로레알(Floréal, 꽃의 달): 4월 21일 - 5월 20일
9월 - 프레리알(Prairial, 목장의 달): 5월 21일 - 6월 19일
10월 - 메시도르(Messidor, 수확의 달): 6월 20일 - 7월 19일
11월 - 테르미도르(Thermidor, 열(熱)의 달): 7월 20일 - 8월 17일
12월 - 프뤽티도르(Fructidor, 열매의 달): 8월 18일 - 9월 16일
(주: 1월은 프랑스어로 '포도 수확'이라는 뜻의 vendanger에서, 4월은 프랑스어로 '눈'이라는 뜻의 neige에서 나왔다.)
1794년 7월 27일 공포정치를 주도하던 로베스피에르, 생 주스트 등이 축출되어 처형된 사건이 테르미도르의 반동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이는 이 사건이 일어난 날이 혁명력 11월, 즉 테르미도르이기 때문이다. 또한 노동 운동을 소재로 한 에밀 졸라의 소설 ≪제르미날≫과, 그를 원작으로 한 동명 영화 제목도 프랑스 혁명력 7월에서 따온 것이다.
1개월을 나누는 보조 단위를 7일 단위의 1주일 대신 10일 단위의 1순일로 바꾸면서 요일도 바뀌었다. 요일의 이름은 제 1요일(Primidi), 제 2요일(Duodi), 제 3요일(Tridi), 제 4요일(Quartidi), 제 5요일(Quintidi), 제 6요일(Sextidi), 제 7요일(Septidi), 제 8요일(Octidi), 제 9요일(Nonidi), 제 10요일(Decadi)이다. 매 순일 제 10요일은 휴일로 정한다.
7일 단위의 1주일을 10일 단위의 1순일로 대체한 것은 앞에서 설명했듯 시간의 단위를 10진화하려는 의도도 있었지만 기독교 문화의 영향을 배제하려는 의도도 포함되었는데, 6일 노동 + 1일 휴무가 9일 노동 + 1일 휴무로 바뀌었기에 많은 시민들에게는 불만도 높았다.
매년 프뤽티도르 뒤에 이어지는, 요일이 없는 축제일 이름은 다음과 같다. 참고로 요일을 매기지 않는 날을 두고 이 날을 휴일로 하자는 발상은 1903년 그레고리력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독일 군인 지하르트가 제창한 세계력(네이버 백과사전 세계력 설명 보기)에 반영된다.
1일: 덕(德)의 축제일(Fete de la vertu)
2일: 수호신의 축제일(Fete du genie)
3일: 근로의 축제일(Fete du travail)
4일: 여론의 축제일(Fete de l'opinion)
5일: 보상의 축제일(Fete des recompenses)
6일: 혁명의 날(Jour de la revolution: 윤년에만 있음)
혁명력 1월 1일을 그레고리력 9월 22일로 정한 것은, 천문학적으로는 추분이 9월 22일 근처라는 것과 관계 있다. 매년 1월 1일을 추분에 맞추려면 어떤 조치가 필요했고, 결국 20년째 되는 해 날짜를 조정해야 했는데 혁명력이 14년밖에 쓰이지 않게 되어 실질적으로는 조치가 필요치 않게 되었다.
윤년은 기본적으로 그레고리력과 같은 방식으로 정한다. 그러나 최초에는 4년, 8년, 12년이 아닌 3년, 7년, 11년이 윤년으로 지정되었다. 이는 혁명력 1년이 1793년 9월부터 시작되었기에, 그레고리력으로 윤년인 1796년이 혁명력 3년에 해당한 것을 감안하였다고 해석된다. 11년 이후에는 15년, 20년, 그 뒤로는 그레고리력과 같이 4배수에 해당하는 해를 윤년으로 지정하려 하였다 한다. 또한 그레고리력과 같은 방식이므로 계속 쓰였다면 혁명력 100년, 200년, 300년은 윤년이 아니었을 것이다.
【참고 자료】
1. http://webexhibits.org/calendars/calendar-french.html (프랑스 혁명력 자료: 영어)
2. http://myhome.hanafos.com/~asakaray/ver/v-ther.htm (김혜린 만화 <테르미도르> 설명)
반응형
'1600 ~ 1700'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선정벌 (0) | 2009.04.28 |
---|---|
제퍼슨 (미국 대통령, 시민운동가, 미국 민주당 창당주) (0) | 2009.04.27 |
철강, 제철, 제련 기술의 발달 (0) | 2009.04.26 |
증기 기관의 발명 (0) | 2009.04.26 |
전기 기술의 발전 (0) | 2009.04.25 |
영국 제국 (0) | 2009.04.25 |
부르봉 왕조는 프랑스인이 아니다. (0) | 2009.04.23 |
강희제(청나라 황제) (0) | 2009.04.11 |
아우스터리츠 전투 (0) | 2009.04.09 |
프랑스 대혁명 (0) | 2009.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