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항해 시대
위키백과 ―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항해 시대(大航海時代)는 15세기 초부터 17세기 초까지 유럽의 배들이 세계를 돌아다니며 항로를 개척하고 탐험과 무역을 하던 시기를 말한다. 그 과정에서, 유럽인들은 자신들이 알지 못했던 아메리카 대륙과 같은 지리적 발견을 달성했다.
목차[숨기기] |
[편집] 탐험가
포르투갈의 항해왕자 엔리케가 대항해 시대를 열었다. 당대의 유명한 탐험가들에는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바르톨로뮤 디아스, 바스쿠 다 가마, 페드로 알바레스 카브랄, 바스코 발보아, 존 캐벗, 예르마크 티모페예비치, 후안 폰세 데 레온, 페르디난드 마젤란, 빌럼 바런츠, 아벌 타스만, 프랜시스 드레이크, 빌럼 얀스존, 제임스 쿡, 헨리 허드슨 등이 있다. 그리고 그렇게 유명하지는 않지만 그 역할을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수많은 무명 탐험가들이 있었고 에르난 코르테스, 프란시스코 피사로 등 탐험가를 표방한 잔인한 정복자들도 있었다.
[편집]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는 스페인 왕국의 군주인 이사벨라와 페르난도의 지원을 받아 아시아를 찾으러 서쪽으로 떠난다. 이사벨라와 페르난도는 콜럼버스를 해군 제독에 임명하고 배 3척(핀타호, 니냐호, 산타마리아호)을 내준다. 하지만 그의 눈에 보인 것은 아시아가 아닌 유럽인들이 한 번도 가보지 못한 신대륙이었다. 콜럼버스는 죽는 날 까지 자신이 인도를 발견했다고 믿는다.
[편집] 배
대항해 시대는 르네상스의 신기술과 사상의 영향을 매우 깊게 받았다.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부분은 지도학, 항해, 화력, 조선 이다. 많은 사람들이 유럽 서쪽으로 항해해서 아시아로 가고 싶어했다. 가장 중요한 발전은 이베리아 반도에서 카락과 캐러벨이 발명된 것이다. 이 배들은 중세 유럽의 범선을 기초로 하여 지중해, 북유럽 선박의 혁신적인 점과 아랍적인 부분을 추가했다. 그리고 지중해를 떠나 대서양으로 안전하게 항해할 수 있는 최초의 배였다.
[편집] 육로 탐험
대항해시대의 전조는 중세 말기에 유라시아를 육로로 탐험하려는 시도에서 나타났다. 몽골은 유라시아의 교역로를 정비하고 중국부터 중동까지 통신 체계를 구축했다. 많은 유럽인들이 동쪽으로 탐험하는 과정에서 몽골의 도움을 받았다. 이탈리아 도시 국가들이 거의 대부분의 육로 교역을 담당했기 때문에 육로로 아시아로 건너간 사람은 대부분이 이탈리아인이었다. 레반트 인들은 동쪽에 상업적으로 이용할 만한 것이 있는지 궁금해 했고, 파파시 인들은 프레스터 존을 찾기 위해 동쪽에 관심을 가졌다.
[편집] 유럽에 미친 영향
아메리카의 발견은 카카오, 옥수수, 감자 등 여러 새로운 과일 아니면 채소를 들여왔을 뿐 만 아니라 금, 은 등의 장식품도 유럽으로 가져오게 되었고, 아메리카는 엄청나게 넓은 땅이어서 미국이나 캐나다 등의 나라가 건국되는 것도 도와 주었다.
[편집] 노예 무역
대항해 시대가 한창일 때, 포르투갈의 상선들은 노예 무역을 통해 막대한 자본을 벌어들이고 있었다. 그들은 서아프리카에서 총을 노예들로 바꾸어, 다시 아메리카 대륙에 팔았고, 한 척에 500명 이상의 노예들을 싣고 아메리카로 떠났다. 또 아메리카 대륙에 도착한 노예들은 익숙하지 않은 환경속에서 질병과 싸워야만 했다.
[편집] 비판
‘대항해 시대’라고 그럴듯하게 부르는 것은 사실상 신대륙 발견도 아니었고, 새로운 역사의 시작도 아니었다. 비유럽, 비기독교 세계의 식민 지배의 시발점이었다.
ps:대항해시대를 미화하는 것은 짱개 koei놈들같은 열등한 개독종자들뿐이다.
'1400 ~ 1500'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00년대에 이미 유럽과 교류한 일본 (0) | 2009.05.03 |
---|---|
칼레 해전 (그라블린 해전, 1588년) (0) | 2009.05.02 |
프레베자 해전 (1538년) (0) | 2009.05.02 |
라푸라푸 (Lapu-Lapu 스페인의 침략을 물리친 추장,16세기) (0) | 2009.05.02 |
1400 ~ 1500년대 일본의 건축기술 (0) | 2009.04.30 |
비잔틴의 국력 (0) | 2009.04.28 |
명나라 영락제 주체와 몽골간에 분쟁 (0) | 2009.04.27 |
경술의 변(1550년) (0) | 2009.04.27 |
토목보의 변 (土木-變,1449) (0) | 2009.04.27 |
극동 유교문화권에서 쓰는 황제와 왕이라는 호칭 (0) | 2009.04.26 |